고등학생 때는 천체관측동아리에서 꽤나 열심히 활동했고 그 매력에 빠져서 대학도 천문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취업을 다른 쪽으로 하면서 자연스레 천문학에 대한 관심이 사라졌다. 요즘은 육아로 정신없는 하루하루를 보내는 중인데 오늘 쓰레기를 버리러 나갔다가 밤하늘을 올려다봤다. 초저녁이라 그런지 여름철별자리인 백조자리가 떠있었다. 오랜만에 옛날 생각이 나서 여름철 별자리에 대해서 정리해볼까 한다.
여름철 별자리 종류
여름철 별자리에는 백조자리, 독수리자리, 거문고자리, 궁수자리, 돌고래자리, 전갈자리, 헤라클레스자리 등이 있다.
백조자리의 데네브,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 거문고자리의 베가가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룬다. 별자리를 찾을 때 여름철 대삼각형을 먼저 찾으면 별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백조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백조자리는 스파르타의 옹비 레다를 유혹하기 위해 제우스가 아내인 헤라의 눈을 피해 백조로 변신한 모습에서 유래했다.
여름밤에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나타나는 은하수 위로 멋지게 날아가는 백조자리를 볼 수 있다. 백조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데네브, 베타별인 알비레오 등이 있다. 백조의 꼬리에 해당하는 데네브는 청백색 초거성으로 태양보다 광도가 16만 배나 높으며 약 3200광년 거리에 있다. 백조의 머리에 해당하는 알비레오는 아름다운 짝별이며 황금색과 파란색으로 빛난다.
독수리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독수리자리는 가니메데를 납치하기 위하여 제우스가 변한 모습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독수리자리는 여름 밤하늘 남쪽 은하수의 중심에 자리를 잡고 있다. 독수리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알타이르, 베타별인 알샤인이 있다. 알타이르는 ‘나는 독수리’란 뜻이며 , 독수리자리는 은하계 안쪽에 놓여 있어 밝은 별들이 많고 행성상성운(NGC 6804, NGC 6781, NGC6751...) 및 산개성단( NGC 6709, NGC 6755, NGC6760... )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거문고자리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이 그리스 최고의 시인이자 음악가로 알려진 오르페우스에게 선물한 거문고와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거문고자리는 작은 별자리지만 북반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인 베가가 있다. 거문고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베가, 베타별인 셸리아크 등이 있다. 베가는 0.03 등성으로 북반구 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며, 전체 밤하늘에서는 5번째로 밝다. 베타별은 3.45등급의 식변광을 일으키는 쌍성으로 1784년 영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존 구드릭이 발견했다. 거문고자리에는 행성상성운인 고리성운(M57)이 있다.
견우와 직녀 전설
여름철 밤하늘의 견우성(알타이르), 직녀성(베가), 은하수가 모티브가 된 것으로 보이는 전설이다. 기원은 중국으로 추정되며 무려 기원전 5세기에 중국에서 쓰인 시에서 이 이야기를 언급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광개토대왕 시절 축조한 고분 벽화에서 견우와 직녀를 묘사한 그림이 있다.
하늘에서 소를 치는 것에 최고인 견우와 하늘에서 베를 짜는 데에 최고인 직녀는 일에만 빠져서 결혼도 안 하고 살았다. 이를 딱하게 여긴 옥황상제가 둘을 직접 맺어주었는데 그 뒤로 두 사람은 달콤한 신혼생활에 빠져 하라는 일은 안 하고 놀기만 하며 지낸다. 이를 지켜본 옥황상제는 그러라고 맺어준 부부의 연이 아니라며 분노했고, 결국 둘은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각자 하늘의 동쪽 끝, 서쪽 끝으로 귀향을 가게 되었다. 옥황상제는 7월 칠석날 하루만 둘을 만날 수 있게 했다. 문제는 은하수에는 다리가 없어 이를 건널 길이 없기에 강가에서 서로 바라보며 눈물만 지을 뿐이었다. 두 사람이 하염없이 울다 보니 그 눈물이 비가 되어 지상에 홍수가 날 지경이 되자 지상에서 살고 있는 까마귀와 까치가 하다 못해 하늘로 올라가 은하수에 다리를 놓는데 이것이 오작교이다. 이 날 저녁에 비가 오면 두 사람이 흘리는 기쁨의 눈물이요, 다음날 동틀 무렵 비가 오면 서로 헤어져야 하는 것을 아쉬워하는 슬픔의 눈물이라고 한다. 한 편 오작교를 만드느라 이 날 까마귀, 까치의 머리가 벗어진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칠석날에도 지상에 있는 까마귀, 까치는 몸이 허약하여 은하수까지 날아가지 못해 남아있는 거라는 그럴싸한 뒷 이야기도 있다.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다음백과, 위키백과, 나무위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쌍둥이자리 유성우 관측 시간 및 주의사항 (0) | 2023.12.10 |
---|---|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0) | 2023.11.16 |
가을철 별자리 알아보기 (0) | 2023.11.09 |
겨울철 별자리 알아보기 (0)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