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은 별을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겨울은 공기가 맑고 투명해서 별이 많이 보일뿐더러 겨울 밤하늘에는 밝은 별들이 많다. 그리고 안드로메다은하와 오리온성운, 플레이아데스 산개성단과 히야데스 산개성단 등 작은 쌍안경이나 맨 눈으로도 볼 수 있는 은하와 성운, 성단도 있어서 볼거리가 다양하다. 겨울 밤하늘은 낭만적이고 아름답다.
겨울철 별자리 종류
겨울철 별자리에는 오리온자리, 황소자리, 마차부자리, 쌍둥이자리, 큰개자리, 작은개자리, 게자리 등이 있다.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이 겨울철 대삼각형을 이룬다.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를 가운데 놓고 오리온자리의 리겔,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 황소자리의 알데바란, 마차부자리의 카펠라, 쌍둥이자리의 폴룩스를 이으면 겨울철 다이아몬드라고 불리는 겨울철 대육각형이 완성된다. 겨울철 별자리는 오리온자리를 먼저 찾으면 나머지 별자리는 쉽게 찾을 수 있다.
오리온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오리온은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아들로 뛰어난 사냥꾼이었다. 달과 사냥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는 오리온과 사랑하는 사이였으나, 아르테미스의 오빠인 아폴론은 이들의 사랑을 탐탁지 않게 생각하였다. 오리온을 싫어하게 된 아폴론은 어느 날 바다 멀리서 사냥을 하고 있는 오리온을 발견하고 오리온을 과녁 삼아 동생과 내기를 청하고 오리온인 줄 모르는 아르테미스는 오리온의 머리를 정확히 명중시켰다. 나중에 자신이 쏘아 죽인 것이 오리온이라는 것을 알게 된 아르테미스는 비탄에 빠졌고, 아르테미스의 슬픔을 달래주기 위해 제우스는 오리온을 밤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었다.
오리온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베텔게우스, 베타별인 리겔 등이 있다. 오리온의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별은 민타카, 알니탁, 알닐람으로 삼태성(三太星)으로 불린다. 삼태성 아래쪽에는 오리온 대성운(M42)이 있는데 맨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크고 쌍안경으로는 밝은 기체와 먼지를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오리온자리에는 성운인 M43, M78, NGC2024이 있다.
황소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황소자리의 황소는 바람기 많은 제우스가 페니키아의 공주 유로파를 유혹하기 위해 변한 모습이다.
황소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알데바란, 베타별인 엘나스 등이 있다. 알데바란은 맥동변광성으로 '황소의 눈'으로 불리고 주변에 산개성단인 히아데스성단이 있다. 그리고 황소자리의 몸통 쪽에 해당하는 곳에 산개성단인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있다. 좀생이 별이라고도 불리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작은 물음표 모양으로 육안으로는 푸른색의 6개의 별로 보이는데 시계가 좋으면 7개가 보이기도 한다. 이외에도 황소자리에는 게성운(M1)이 있다.
마차부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다리가 불편한 아테네도시의 왕인 에릭토니도스는 자신의 불편한 다리를 보충하기 위해 4두 마차를 발명하고 이것을 자주 이용했다고 한다. 그의 발명을 크게 여긴 제우스가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마차부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카펠라가 있다. 마차부자리는 은하수가 지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산개성단과 천체들이 있다. 가장 밝은 산개성단으로는 M36, M37, M38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도시 근교에서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마차부자리에는 산개성단인 NGC 2281, NGC 1664이 있다.
쌍둥이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쌍둥이자리는 쌍둥이 형제인 카스토르와 폴룩스의 우애에 감동한 제우스가 이를 기리기 위해 만든 별자리이다.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스파르타의 왕비 레다와 고니로 변신한 제우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폴룩스는 불사신의 몸을 가지고 있었는데 카스토르가 죽게 되자 폴룩스는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제우스에게 자신의 죽음을 부탁했다. 이들 형제의 우애에 감동한 제우스는 카스토르와 폴룩스를 두 개의 밝은 별로 만들어 형제의 우애를 영원히 기리도록 하였다.
쌍둥이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카스토르와 베타별인 폴룩스가 있다. 원래 별자리의 별은 밝은 순서대로 α, β, γ...로 정하는데 쌍둥이자리는 베타별인 폴룩스가 알파별인 카스토르보다 밝다. 그 이유는 처음 별자리에 별 이름을 붙일 당시에는 카스토르가 폴룩스보다 밝았기 때문이다. 쌍둥이자리에는 전체 하늘에서 5번째로 큰 산개성단인 M35가 있다. 이외에도 마차부자리에는 산개성단인 NGC 2281, NGC 1664이 있다. 이외에도 쌍둥이자리에는 NGC 2158, NGC2420, NGC2392, NGC2371 등 여러 성운과 성단이 있다.
큰개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오리온자리 뒤에 있는 큰개자리는 작은개자리의 작은 개와 함께 오리온의 사냥개였다는 얘기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큰개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시리우스가 있다. 시리우스는 8.7광년이라는 비교적 가까운 곳에서 1만 도로 불타오르고 있어 태양을 제외하면 지구상에서 가장 밝은 별(-1.46등급)이다. 시리우스는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과 함께 겨울철 대삼각형을 이룬다. 큰개자리에는 산개성단인 M41, NGC2360, NGC2362가 있다.
작은개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작은 개는 오리온이 사냥을 할 때 큰 개와 함께 데리고 다니던 사냥개라는 이야기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작은개자리의 주요 별로는 알파별인 프로키온이 있다. 프로키온은 0.38등급으로 전체 하늘에서 7번째로 밝은 별이다. 프로키온의 뜻은 '큰 개보다 앞서는'이고, 여기서의 '큰 개'는 큰개자리를 의미한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보다 빨리 떠올라 곧 시리우스가 나타날 것을 미리 알려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작은개자리는 별자리가 작아서 10등급보다 밝은 천체가 없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쌍둥이자리 유성우 관측 시간 및 주의사항 (0) | 2023.12.10 |
---|---|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0) | 2023.11.16 |
가을철 별자리 알아보기 (0) | 2023.11.09 |
여름철 별자리 알아보기(feat.견우와직녀) (0)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