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5

2023 쌍둥이자리 유성우 관측 시간 및 주의사항 겨울 밤하늘은 1 등성 별이 많고 공기가 맑고 투명해서 별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작은곰자리 유성우가 겨울 밤하늘을 장식하는데 오늘은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최대 절정 시기와 관측 주의사항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유성우란?유성우는 여러 개의 유성이 비처럼 보이는 천문 현상으로 이때 발생되는 유성들은 천구상의 한 점에서 퍼져나가는 것처럼 보인다. 유성은 혜성이나 소행성 등의 천체가 남겨 놓은 잔해가 지구 대기와 매우 높은 속도로 충돌하는 것으로, 대기 중의 기체와 마찰을 일으켜 증발하면서 급속하게 사라지는 빛줄기를 남긴다. 혜성이나 소행성의 잔해들은 대부분 모래보다 작으며, 거의 대부분의 조각들은 분해되어 지구 표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혜성은 먼지가 섞여 있는 눈덩이가 태양의 둘레를.. 2023. 12. 10.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우주는 광활하다. 빅뱅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37.87 ± 0.20억 년 전에 대폭발(빅뱅) 이후 계속 팽창해 왔다. 전체 우주의 공간적 크기는 알 수 없지만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은 가능하며, 오늘날 직경이 대략 930억 광년이라고 한다. 930억 광년이라는 것은 빛의 속도로 갔을 때 930억 년이 걸리는 거리를 말한다. 천문우주연구원에서는 매년 천체사진공모전을 한다. 올해 4월에 있었던 공모전에서는 사진뿐만 아니라 그림, 동영상까지 공모했으며 총 294개의 작품이 출품되었다. 전체 응모작 중 24개 작품이 수상되었으며 수상자들에게는 상패와 상금이 수여되며, 특별히 대상 수상자에게는 한국천문연구원장상과 상금 200만 원이 수여된다. 사진을 보니 우주의 신비함과 경이로움이 느껴진다. 혼자 보.. 2023. 11. 16.
가을철 별자리 알아보기 가을은 다른 계절과는 달리 밤하늘에 밝은 별이 거의 없어서 별자리를 찾기가 어렵다. 하지만 밤하늘이 맑고 어두운 곳에서는 솜털 같은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할 수 있고 남쪽 하늘 지평선 근처에서는 유일한 1등 성인 포말하우트(남쪽물고기자리)를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밤하늘 한가운데에 거대한 사각형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가을철 대사각형이라고 부른다. 가을철 별자리 종류 가을철 별자리에는 페르세우스자리,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양자리, 물고기자리, 물병자리, 남쪽물고기자리 등이 있다. 페가수스자리의 몸통 부분을 가을철 대사각형이라고 부른다. 이 대사각형을 기준으로 가을철 별자리를 차근차근 찾아보면 된다. 페르세우스자리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신화에 나오는 페르세우스는 그리스 남부 아르고스 왕국에 사는.. 2023. 11. 9.
겨울철 별자리 알아보기 겨울은 별을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겨울은 공기가 맑고 투명해서 별이 많이 보일뿐더러 겨울 밤하늘에는 밝은 별들이 많다. 그리고 안드로메다은하와 오리온성운, 플레이아데스 산개성단과 히야데스 산개성단 등 작은 쌍안경이나 맨 눈으로도 볼 수 있는 은하와 성운, 성단도 있어서 볼거리가 다양하다. 겨울 밤하늘은 낭만적이고 아름답다. 겨울철 별자리 종류 겨울철 별자리에는 오리온자리, 황소자리, 마차부자리, 쌍둥이자리, 큰개자리, 작은개자리, 게자리 등이 있다.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이 겨울철 대삼각형을 이룬다.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를 가운데 놓고 오리온자리의 리겔,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 황소자리의 알데바란, 마차부자리의 카펠라, 쌍둥이.. 2023. 11. 7.